2021년 6월 1일 화요일

ESG의 정의: 기업 지속가능성의 핵심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구체적으로 무엇을 보는가?

기업 경영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과거 재무적 성과가 기업 가치의 유일한 척도였다면, 이제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축으로 하는 ESG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핵심 기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ESG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비재무적 요소를 평가할 때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프레임입니다. 투자자와 소비자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은 이제 기업의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이들이 환경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얼마나 투명하게 운영되는지를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1. ESG 개념의 등장과 정의

ESG 논의는 기후변화 위기감에서 시작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요구에서 출발했습니다.

이러한 요구는 2006년 **UN PRI(유엔책임투자원칙)**가 '책임 투자를 위한 6가지 원칙'을 제정하면서 ESG라는 이름으로 구체화되었습니다. UN PRI는 기관투자자들에게 투자 분석 및 의사결정 과정에 ESG 이슈를 적극적으로 포함시키고, 투자 대상 기업에게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UN PRI는 ES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며 투자 관점에서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위험관리와 지속 가능한 장기수익 창출을 위해 투자의사 결정시 반영되어야 할 요소"

최근에는 ESG의 중요성이 투자자를 넘어 기업 경영 전반으로 확대되면서, 일반적으로 '기업 경영에서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3가지 핵심 요소' 또는 **'기업의 중장기적 기업가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비재무적 성과'**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2. ESG의 3대 구성요소

ESG는 이름 그대로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의 세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됩니다. 평가 기관별 특징에 따라 세부적인 하위 지표에는 차이가 있지만, 각 영역의 핵심 이슈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환경 (Environmental)

환경 부문에서 가장 대표적인 이슈는 기후변화와 탄소배출입니다. 이 외에도 환경오염 및 규제, 자원 및 폐기물 관리, 에너지 효율화 등이 주요 관리 대상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국민연금은 기업의 ESG 평가 시 탄소배출량, 에너지 소비량, 용수 사용량, 폐기물 배출량, 친환경 특허 등을 주요 기준으로 활용합니다.

🤝 2. 사회 (Social)

사회 부문은 기업이 조직 내외부의 이해관계자들과 맺는 관계를 다룹니다. 전통적으로 인권 보호, 근로조건, 다양성 확보 등이 중요 이슈였으며, 최근에는 개인정보 보호, 공급망 관리,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CEO 보상 수준, 성별 임금 격차, 직원 이직률, 사업장 내 사고 발생 빈도, 아동 노동 및 인권 정책 수립 여부 등이 평가지표로 사용됩니다.

🏛️ 3. 지배구조 (Governance)

지배구조 부문은 기업의 의사결정구조와 경영 투명성을 평가합니다. 핵심 이슈는 뇌물 및 부패 방지, 기업 윤리, 정보의 공개 관행 등입니다.

주요 평가 지표로는 이사회의 다양성 및 독립성,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의 작성 및 보고, 윤리 및 부패 방지 시스템 등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ESG는 기업이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3가지 핵심 축을 의미합니다. 재무적 성과와 더불어 비재무적 성과의 관리가 중요해진 지금, 투자자들 역시 비재무적 요인을 고려해야만 기업의 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NITE 2024년 사고해석 보고서: 데이터가 밝힌 '진짜 위험'

📊 배터리, 온라인 구매, 그리고 고령화: 데이터가 지목한 3대 위험 지난번 NITE(일본 제품평가기술기반기구)의 '사고정보 수집 보고서'가 통계 중심의 '성적표'였다면, 이번에 공개된 **'2024년도 사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