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전문가를 만나는 것은 성공의 첫 걸음: 코스닥 상장사를 위한 전문가 선정 방법
"훌륭한 지배구조는 단순히 규정을 준수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기업의 영혼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모든 이해관계자와의 신뢰를 구축하는 과정이다."
- 멜리사 아길라 (Mellody Hobson, Starbucks 이사회 의장)
코스닥 상장 중소기업이 ESG 리스크 관리를 위한 지배구조 설계를 고민하는 것은,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장기적인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가장 핵심적인 전략적 판단입니다.
특히 'G'(지배구조)는 E(환경)나 S(사회)의 기반이 되는 동시에, 그 자체로 횡령·배임, 불공정 거래, 주주 권익 침해와 같은 치명적인 리스크를 방어하는 방패입니다.
국내에서 귀사와 같은 코스닥 상장사의 특수성(대주주 영향력, 유연한 조직 구조, 성장 단계)을 이해하고 실질적인 'G'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 기관은 크게 4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그룹의 특징과 주요 기관을 광범위하게 추천해 드립니다.
1. 공공 및 유관기관: 기본 진단과 방향성 수립
가장 먼저 검토해야 할 옵션입니다. 특히 코스닥 상장사 대상으로 비용 부담 없이 현 수준을 진단하고 방향성을 잡기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특징: 공신력을 바탕으로 상장사의 지배구조 개선을 직접 지원합니다. 무료 또는 저비용으로 표준화된 진단 및 기본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주요 기관:
한국거래소(KRX) 및 한국ESG기준원(KCGS):
KRX와 KCGS는 정기적으로 "상장기업 지배구조 개선 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검색 결과(Hankyung, CGS.or.kr)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지배구조 등급이 B+ 이하인 코스닥 상장사를 대상으로 무상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이는 귀사의 현황을 진단하고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지원받을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 ESG플랫폼(으쓱):
다양한 ESG 컨설팅 기관(로펌, 회계법인, 전문기관)을 연결해주는 'ESG Consulting Alliance'를 운영합니다. (검색 결과 1.6)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예: 공급망 ESG 컨설팅)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추천 대상: ESG 경영 도입 초기 단계로, 현재 지배구조 수준을 공신력 있게 진단받고 기본적인 개선 과제를 도출하고 싶은 기업.
2. ESG 전문 부티크(Boutique) 컨설팅사
ESG 분야에만 집중하며 실무적인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한 전문 컨설팅사입니다. 중소·중견기업 맞춤형 솔루션에 강점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징: ESG 평가 대응, 전략 수립, 보고서 작성 등 ESG 전반의 실무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대형 펌 대비 유연하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밀착 지원이 가능합니다.
주요 기관:
마크스폰(Marcspon):
15년 이상의 업력을 가진 ESG 전문 컨설팅사입니다. (검색 결과 4.3, 4.5)
DJSI, MSCI, KCGS 등 국내외 ESG 평가 대응 및 전략 수립, 데이터 관리 플랫폼(EDK) 제공 등 실무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한국ESG경영컨설팅(KESGMC):
검색 결과(4.1)에 따르면, **"중소/중견기업이 직면하는 인력 및 재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공공 조달 및 공급망 대응과 연계한 실질적인 솔루션을 강조합니다.
한국ESG연구원(KESGINT):
ESG 전략, 보고서, 공급망 평가 대응 등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소기업 관련 프로젝트(예: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수행 경험이 있습니다. (검색 결과 4.2)
기타 전문 기관: 대신경제연구소, 에코앤파트너스, 솔루티스, 에코시안 등 (검색 결과 4.4)
추천 대상: KCGS 등급 관리, 보고서 발간, 공급망 실사 대응 등 구체적인 실무 과제를 해결하고, 중소기업 현실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고 싶은 기업.
3. 유명 회계법인 (Big 4)
전통적인 재무 자문 및 리스크 컨설팅 역량을 ESG 분야로 확장한 그룹입니다. 특히 지배구조와 직결되는 '내부통제'와 '리스크 관리'에 강력한 전문성을 보유합니다.
특징: 전사적 리스크 관리(ERM), 내부회계관리제도, ESG 데이터 인증(Assurance) 등 재무·비재무 리스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데 강점이 있습니다.
주요 기관:
삼정KPMG: 'ESG 리스크 자문' (검색 결과 3.1) 및 'ESG 경영체계 구축' (검색 결과 1.3) 등 전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삼일PwC
딜로이트 안진
EY한영
추천 대상: 지배구조 리스크를 내부통제 및 재무 리스크와 통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향후 ESG 공시 의무화에 따른 '데이터 인증'까지 고려하는 기업.
4. 유명 법무법인 (Law Firms)
지배구조(G)는 본질적으로 상법, 자본시장법 등 법률적 규제와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법적 리스크 방어 및 컴플라이언스 측면에서 가장 전문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특징: 이사회 운영, 주주총회, 경영권 분쟁, 컴플라이언스(준법 감시), 중대재해처벌법(S영역 연계) 등 법률 리스크 식별 및 대응에 독보적입니다.
주요 기관:
김·장 법률사무소: 'ESG 지배구조 구축' 서비스로 이사회 운영, ESG 위원회 수립, 주주 활동 점검 등을 자문합니다. (검색 결과 1.4)
법무법인(유) 지평: ESG 센터를 운영하며, 특히 코스닥 상장사의 기업 심사 대응 등 자본시장 관련 법률 자문 경험이 풍부합니다. (검색 결과 2.4)
법무법인(유) 태평양, 광장 등: 대부분의 대형 로펌이 ESG 전담팀을 운영하며 지배구조 관련 법률 자문을 제공합니다.
추천 대상: 법규 준수(Compliance)가 최우선 과제이거나, 주주행동주의 대응, 경영권 분쟁 등 즉각적인 법적 리스크에 노출된 기업.
💡 실무적 선택 가이드
컨설턴트를 선택하기 전에 귀사의 현 상황과 구체적인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순위] KRX/한국ESG기준원 무료 컨설팅 신청: 코스닥 상장사로서 받을 수 있는 혜택입니다. 먼저 신청하여 현 수준을 진단받는 것을 강력히 권고합니다.
[목표 정의] 우리의 핵심 과제는 무엇인가?
'당장 KCGS 등급 B+를 받아야 한다' ➔ ESG 전문 부티크
'횡령·배임이 터질까 두렵다. 내부통제가 시급하다' ➔ 대형 회계법인
'주주총회에서 소액주주 연대가 공격할 것 같다' ➔ 대형 법무법인
[트랙 레코드 확인] 제안서(RFP) 요청 시, 반드시 '다른 대기업 사례'가 아닌 '코스닥 상장사' 또는 '중소·중견기업' 대상의 지배구조 컨설팅 실적을 구체적으로 요구하십시오.
적절한 전문가를 찾는 것은 지배구조 리스크를 '비용'에서 '경쟁력'으로 전환하는 첫걸음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