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일 토요일

문광수 교수, 산재 사고 줄일 효과적 '안전 리더십'

💡 "안전, 비용인가 투자인가: 경영진의 몫이 된 '생존 자산' 확보 전략"

본 아티클은 정부와 기업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산업재해가 크게 줄지 않는 상황을 진단하며, 특히 사고의 대부분이 불안전 행동에서 기인한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이에 따라 실제 현장에서 안전 행동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안전 리더십(Safety Leadership)'**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등으로 산업안전보건 관리 체계가 강화되었지만, 여전히 '안전보다 효율'이라는 문화가 팽배한 현실에서, 경영진과 현장 관리자의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안전 리더십 행동이 조직의 안전 문화를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산업재해를 감소시키는 핵심 열쇠임을 제시합니다.


✍️ 저자 프로필

  • 문광수 (ksmoon@cau.ac.kr)

    •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

    • 중앙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산업 및 조직심리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

    • 인사 컨설팅 기업 SHR과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선임 연구원으로 근무

    •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산업 및 조직심리학으로, 조직행동관리, 안전심리, 동기심리, 인간공학 관련 논문을 저술

  • 정리=이규열 (kylee@donga.com)

    • 동아일보 기자


🔑 주요 내용 요약

1. 안전 리더십의 필요성: 사고 원인의 96%는 '행동'

  • 산업재해의 심각성: 2024년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는 2,098명, 재해자 수는 14만 2,771명으로, OECD 선진국 대비 사망 재해율이 6~9배 이상 높습니다.

  • 기업 손실: 재해율 1% 증가는 기업 영업이익률을 1.11~1.21% 감소시키며, 특히 작은 기업일수록 손실이 더 크게 증가합니다. 안전은 이제 지속가능 경영과 ESG 경영의 기본입니다.

  • 체계의 한계와 행동의 중요성: 중대재해처벌법 이후 관리 체계가 강화되었으나, 여전히 '빨리빨리' 문화와 생산성 우선 경향으로 인해 재해율이 크게 줄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산업재해의 76%(미국), 88%(하인리히)가 불안전 행동에서 기인하는 만큼, 현장에서의 안전한 행동을 이끌어내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2. 경영진의 안전 리더십 증진 방안

경영진은 '가시적인 안전 리더십(Visible Safety Leadership) 행동'과 '모범적인 역할 모델(Role Model)'을 통해 진정성을 입증해야 합니다.

  • 안전은 비용이 아닌 투자: 안전 확보는 사고 방지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법적 리스크, 브랜드 이미지 하락 등 기업의 대내외적인 타격을 예방하기 위한 투자로 봐야 합니다.

  • 안전은 리더의 역할: 안전을 직원들만의 몫이 아닌 리더의 역할로 인식해야 하며, 리더의 의사결정, 말, 행동이 조직의 안전 수준을 결정합니다.

  • 현장 방문과 소통: 사무실에 안주하지 않고 현장을 자주 방문하여 안전관리 체계 운영 상황과 필요한 지원을 파악해야 하며, 직원들과 직접 소통하며 안전 문제 해결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해야 합니다.

  • 사고는 예방하는 것: 사고 후 대응이 아닌, 설계부터 공정 계획, 작업 계획서 작성 과정에서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방법을 치열하게 고민하고 토론해야 합니다.

  • 조직 전체의 관여: 생산 부서뿐만 아니라 인사(안전 훈련 로드맵, 안전 성격 검사), 구매(편리한 보호구 파악 및 적용) 등 전 부서가 안전 문화 증진에 기여해야 합니다.

3. 현장 관리감독자의 핵심 행동 지표(KBI)

경영진의 리더십을 실제 작업자의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은 현장 관리감독자의 역할입니다.

  • ① 정기적인 현장 안전 모니터링: 핵심 안전 행동 및 상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현장을 자주 방문하고 관찰하며 객관적인 안전 실천 수준을 파악해야 합니다.

  • ② 교정적 안전 소통: 현장 직원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불안전 행동 관찰 시 질책이나 처벌 대신 대화와 질문을 통해 스스로 개선 필요성을 자각하게 하고 실천 의지를 높이는 교정적인 방식으로 소통해야 합니다.

  • ③ 모니터링 자료 기반 논의: 모니터링 자료를 토대로 현장 직원들과 정기적으로 논의하며, 안전 비율이 낮은 항목에 대해서는 비난 대신 증진 방안 모색과 지원에 집중해야 합니다.

  • ④ 안전 노력과 성과 달성에 대한 인정과 축하: 작업자들의 자발적인 안전 행동 준수를 이끌어내는 핵심 요소로, 높은 안전 수행을 보이는 개인이나 팀을 인정하고 축하하는 가이드라인을 계획하고, 감사 물품은 개별 직원들에게 의미 있게 전달해야 효과적입니다.

인사이트: "안전은 비용이 아니라 투자이며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결정짓는 핵심 자산이다. 안전 리더십을 발휘하는 기업만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NITE 2024년 사고해석 보고서: 데이터가 밝힌 '진짜 위험'

📊 배터리, 온라인 구매, 그리고 고령화: 데이터가 지목한 3대 위험 지난번 NITE(일본 제품평가기술기반기구)의 '사고정보 수집 보고서'가 통계 중심의 '성적표'였다면, 이번에 공개된 **'2024년도 사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