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3일 토요일

BCP의 심장, 업무 영향도 평가(BIA) 수행 완벽 가이드

"우리 회사 '정밀 건강검진' 하는 날" - BCP의 심장, BIA 완벽 가이드

BCP(사업 연속성 계획) 수립에 있어 모든 전략의 '기초'이자 '심장' 역할을 하는 단 하나의 활동을 꼽으라면, 그것은 단연 **BIA(Business Impact Analysis, 업무 영향도 평가)**입니다.

BCP가 위기 상황에서 기업을 구출할 '치료 계획(Treatment Plan)'이라면, BIA는 "어디가, 얼마나 아픈지, 그리고 어디를 먼저 치료해야 하는지"를 진단하는 '정밀 진단서'입니다. 정확한 진단 없이는 올바른 처방이 나올 수 없습니다.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 (If you can’t measure it, you can’t manage it.)"

- 피터 드러커 (Peter Drucker)

BIA는 위기 발생 시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측정'하여, 한정된 자원을 어디에, 얼마나 빨리 투입할지 결정하는 과학적인 프로세스입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BIA를 수행하는 구체적이고 실무적인 방법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1. BIA란 무엇인가? (RA와의 차이)

BIA를 수행하기 전, 많은 실무자가 '위험 평가(RA, Risk Assessment)'와 혼동합니다. 둘은 상호 보완적이지만 목적이 다릅니다.

  • 위험 평가 (RA): "우리 회사에 발생할 수 있는 위협은 무엇인가?" (What can happen?)

    • (예: 화재, 지진, 랜섬웨어, 공급망 파트너 파산)

    • '원인(Threat)'과 '발생 가능성(Likelihood)'에 초점을 맞춥니다.

  • 업무 영향도 평가 (BIA): "그 위협이 현실화되어 업무가 중단되면, 우리 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So what?)

    • (예: 랜섬웨어로 '주문 시스템'이 1일 중단되면? -> 매출 손실 10억, 고객 신뢰도 하락)

    • '결과(Impact)'와 '시간(Time)'에 초점을 맞춥니다.

BIA는 "우리 회사의 모든 업무가 똑같이 중요하지 않다"는 냉정한 현실에서 출발합니다. 즉, **'자원의 선택과 집중'**을 위한 '우선순위'를 정하는 작업입니다.


2. BIA 수행을 위한 4단계 핵심 가이드

BIA는 거창한 컨설팅 프로젝트가 아니라, 우리 회사의 '핵심'을 파악하는 내부 진단 과정입니다. 다음 4단계를 따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1단계: 핵심 업무(프로세스) 식별

가장 먼저 "우리 회사가 돈을 버는(혹은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활동이 무엇인가?"를 정의해야 합니다.

  • 방법: 부서 단위(영업팀, 생산팀)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스' 단위로 쪼개야 합니다.

  • (Bad 👎): 영업팀, 인사팀, 생산팀

  • (Good 👍):

    • 신규 고객 계약 프로세스

    • 온라인 주문 접수 및 처리

    • 핵심 부품 A 조달 및 입고

    • 제품 생산 라인 B 가동

    • 일일 급여 정산 및 이체

  • Tip: 전 부서의 실무 담당자들과의 워크숍이나 설문조사를 통해 회사 운영에 필요한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빠짐없이 리스트업합니다.


2단계: 영향도 분석 및 RTO/RPO 도출 (가장 중요!)

식별된 업무들이 "얼마나 빨리 복구되어야 하는가?"를 결정하는 BIA의 핵심입니다.

A. 영향도 분석 (Impact Analysis)

각 업무 프로세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단되었을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합니다.

  • 분석 항목:

    • 재무적 영향: 매출 손실, 벌금(Penalty), 계약 위약금 등

    • 운영적 영향: 생산성 저하, 납기 지연, 핵심 활동 중단 등

    • 법규/규제 영향: 법적 제재, 공시 의무 위반 등

    • 평판/고객 영향: 고객 신뢰 하락, 브랜드 이미지 손상, 고객 이탈 등

  • [실무 예시] '온라인 주문 시스템' 영향도 분석표 (간이)

    | 시간 경과 | 재무적 영향 | 운영/고객 영향 |

    | :--- | :--- | :--- |

    | 1시간 이내 | 즉각적 매출 중단 | 고객 문의 폭주 시작, CS팀 마비 |

    | 4시간 이내 | 1억 원 매출 손실 추정 | 실시간 검색어 노출, 부정 여론 확산 |

    | 1일 (24시간) | 10억 원 매출 손실 | 주요 고객사 계약 해지 검토 통보 |

    | 3일 (72시간) | 30억 원 + α 손실 | 경쟁사로 고객 대거 이탈, 회복 불능 |

B. RTO 및 RPO 정의

위의 영향도 분석을 바탕으로, '감내할 수 있는' 최대 한계를 정합니다.

  • MTPD (Maximum Tolerable Period of Disruption): 최대 허용 중단 시간

    • "우리는 '온라인 주문 시스템' 중단을 최대 24시간까지는 버틸 수 있다. 그 이상은 회사가 망한다."

  • RTO (Recovery Time Objective): 복구 목표 시간

    • MTPD를 바탕으로 설정하는 '현실적인' 복구 목표입니다.

    • (MTPD 24시간) -> "따라서, 우리는 4시간 이내에 시스템을 복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RTO ≤ MTPD)

  •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복구 목표 시점

    • "얼마나 많은 '데이터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가?" (데이터 복구 주기)

    • (예: RPO = 1시간) -> "최악의 경우, 최대 1시간 분량의 데이터(주문 내역)만 잃는 것을 감수한다." (즉, 최소 1시간마다 백업이 필요함)


3단계: 자원 및 의존성 파악

RTO(예: 4시간)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파악합니다.

  • 해당 업무(예: 온라인 주문 시스템)에 필요한 자원:

    • 인력: DBA(데이터베이스 관리자) OOO, 서버 담당자 OOO, CS팀장 OOO

    • 시스템/설비: 주문 서버 5대, 결제 연동 게이트웨이, ERP 연동 시스템

    • 외부 의존성: IDC 센터(서버 위치), PG사, 통신사(KT/SK) 회선

    • 필수 데이터: 실시간 주문 백업 데이터, 고객 DB

  • Tip: 이 자원 목록은 BCP 전략(예: 백업 시스템 구축, 핵심 인력 비상 연락망)을 수립하는 직접적인 근거가 됩니다.


4단계: 우선순위 결정 및 보고

모든 핵심 업무에 대해 BIA가 완료되면, RTO가 짧은 순서대로 '복구 우선순위'가 정해집니다.

  • [최종 결과물 예시] 복구 우선순위 리스트

    | 순위 | 핵심 업무 | RTO (복구 목표) | RPO (데이터 손실) |

    | :--- | :--- | :--- | :--- |

    | 1 | 온라인 주문/결제 시스템 | 4시간 | 15분 |

    | 2 | 생산라인 A 제어 시스템 | 8시간 | 1시간 |

    | 3 | 고객센터 응대 시스템 | 24시간 | 4시간 |

    | 4 | 월간 급여 이체 시스템 | 3일 | 24시간 |

    | 5 | 신규 채용 관리 시스템 | 7일 | 3일 |

  • 활용: 이 리스트는 "위기 발생 시, 1순위(주문 시스템)에 모든 자원을 투입한다. 5순위(채용)는 나중에 복구한다"는 명확한 '전략'을 제공합니다.


맺음말: BIA, '가장 아픈 곳'을 찾는 여정

BIA는 귀찮고 복잡한 서류 작업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우리 회사의 핵심 가치가 무엇인가'를 전 직원이 함께 고민하는 가장 중요한 전략적 과정입니다.

정확한 BIA 없이는, 위기 시 중요하지 않은 업무(예: 채용 시스템)를 복구하느라 정작 중요한 업무(예: 주문 시스템)의 '골든 타임'을 놓칠 수 있습니다.

BCP의 성공은 '모든 것'을 지키려는 데 있지 않습니다. BIA를 통해 '가장 중요한 것'을 '가장 먼저' 지키는 것에 그 핵심이 있습니다. 지금 바로 우리 회사의 핵심 업무 리스트부터 작성해 보시길 권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NITE 2024년 사고해석 보고서: 데이터가 밝힌 '진짜 위험'

📊 배터리, 온라인 구매, 그리고 고령화: 데이터가 지목한 3대 위험 지난번 NITE(일본 제품평가기술기반기구)의 '사고정보 수집 보고서'가 통계 중심의 '성적표'였다면, 이번에 공개된 **'2024년도 사고정보...